국민 10명 중 7명 가까이가 차기 대선에서 정권교체를 원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차범위 밖에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으며, 한덕수 국무총리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이뤄진 헌법재판관 지명에 대해서는 과반이 `권한대행이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답했다. 다음 대통령 집무실 위치로는 `청와대`를 꼽은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꽃`이 지난 11일부터 1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면접(CATI) 조사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 `차기 대선에서 정권을 교체해야 한다`는 응답은 67.7%에 달했다. `현 정권을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은 28.2%에 그쳐, 정권교체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는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과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다.   이러한 정권 심판론은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도 반영됐다. `차기 대통령으로 누가 가장 낫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재명 대표가 46.7%의 지지를 얻어 1위를 기록했다. 국민의힘 소속 주자 중에서는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10.0%로 가장 높았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6.8%), 홍준표 대구시장(5.7%), 오세훈 서울시장(2.4%)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대표는 진보층(80.3%)과 민주당 지지층(86.0%)의 압도적 지지를 바탕으로, 국민의힘 후보군을 큰 격차로 따돌렸다. 다만 `적합한 인물이 없다`는 응답도 13.7%로 적지 않아, 향후 2개월 간 펼쳐질 부동층에 대한 표심잡기 정책의 중요성을 반증했다.      한편, 헌정 사상 처음으로 대통령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 2명을 지명한 것에 대한 평가에서는 부정적 여론이 우세했다. `권한대행이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응답이 53.2%로, `할 수 있는 일`(42.6%)이라는 응답보다 10.6%p 높았다. 이는 헌법상 공백 없이 안정적 국정 운영을 위해 권한 행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과 선출되지 않은 권력인 권한대행이 헌법기관 구성 등 중대한 권한을 행사하는 것은 민주적 정당성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맞서는 가운데, 국민 다수가 후자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풀이된다.   다음 대통령 집무실 위치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청와대`(56.3%)라는 응답이 과반을 차지했다. 이재명 대표가 "국력 낭비", "졸속 이전"이라고 비판했던 현 `용산 집무실`을 선호한 응답은 15.2%에 불과했으며, `세종`(20.1%)이 뒤를 이었다. 국민의힘 지지층(용산 42.2%)을 제외한 대부분의 계층에서 청와대 복귀를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탄핵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용산 이전 결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여전함을 보여줬다.   (자세한 여론조사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