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이윤태 교수, 통합과정 박종석 씨 연구팀은 패혈증을 유발하는 중요한 세포인 `가장자리 B림프구`의 형성 메커니즘을 밝혀내며, 패혈증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게재됐다.
‘가장자리 B림프구’는 체내 면역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 몸속 혈액을 걸러내는 비장이라는 기관 내에 있다. 이 세포는 혈액을 통해 들어오는 병원균 등 외부 물질에 신속하게 반응하며 몸의 첫 번째 방어선인 선천 면역에 관여하며, 항체를 만들어 공격하는 후천 면역에도 참여한다.
하지만 가장자리 B림프구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는 경우 패혈증을 비롯한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가장자리 B림프구가 형성되려면 Notch* 수용체를 통해 신호를 내부로 전달해야 하는데, 이 수용체의 활동을 조절하는 인자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많지 않았다.
*Notch: 세포 간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세포가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연구에서 이윤태 교수님 연구팀은 Notch 신호전달 경로가 ‘CIC(Capicua)’와 ‘ATXN1L(Ataxin1-Like)’라는 단백질 복합체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특히, ‘ETV4’라는 인자가 CIC-ATXN1L 복합체의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과도하게 발현되고, 그 결과 Notch1과 Notch2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생쥐 모델 실험을 통해 CIC-ATXN1L 전사복합체에 결함이 생기면 결과적으로 가장자리 B림프구 수가 줄어들고 제대로 자라지 못해 패혈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는 결과도 얻었다. 가장자리 B림프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을 분비하는데, 이 물질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장기에서 염증 반응이 촉진되어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OSTECH 이윤태 교수는 “이번 연구는 패혈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CIC-ATXN1L 복합체와 ETV4 전사인자가 치료의 중요한 타깃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며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BK21 4단계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