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학당에 참가|2022년 5월부터 2023년까지 매주 ‘소피의 세계’ 함께 읽어|나에게 있어서 자유는 곧 ‘나를 알아가는 것’2022년 봄부터 군위군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진행하는 ‘청소년학당(진행: 이영주 선생님)’에 참여하여, 책[소피의 세계]를 함께 읽었다. 소설책을 함께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모임인 줄 알고 참가 신청을 했는데, 철학소설이라고 해서 당황했다. 낯설고 어려웠지만, 새로운 공부였고 흥미로운 부분도 많아서 끝까지 함께하게 되었다. 어렵고 두꺼운 책을 다 읽었다는 뿌듯함도 있었다. 선생님과 함께 책을 읽으며 느끼고 생각했던 것을 정리해보려 한다.마지막 모임에서 [소피의 세계]를 읽기를 돌아보며 느꼈던 감정을 떠올려보았다. 둥글게쌤(이하 이영주 선생님)이 펼쳐둔 감정 카드에서 ‘경이로운/황홀한, 기대되는/희망을 느끼는, 후회스러운/아쉬운, 안타까운, 마음이 두 갈래인, 답답한/갑갑한’을 골랐다. 말로 표현하기 힘든 여러 가지 감정이 있었는데, 감정 카드를 고르면서 정말 여러 가지 감정을 느꼈다는 걸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청소년학당 첫 모임에서 둥글게쌤은 ‘모든 것은 변화한다/ 변하지 않는 진리가 있다.’라는 문장을 보여주었다. 모임 시작 전까지만 해도 괜히 왔나 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그 문장들을 보자 기대가 되었고, 지금 생각해보면 살면서 선택한 여러 가지 일 중에 ‘좋은(의미 있는) 선택’ 중 하나가 되었다. 내가 자유를 향해가는 첫 발걸음이 되어주었기 때문이다.모임을 할수록 그동안 내가 갖고 있었던 고정관념이나 가치관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새로운 생각을 만나보니 그저 경이로웠다.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 암묵적으로 만들어진 사회통념, 규칙들이 내 무의식 속에 있었는데 이젠 그것들이 부서져 버리는 것 같았다.[소피의 세계]에서 질문들을 만날 때면, 나의 마음은 두 갈래가 되었다. 특히 플라톤의 정치철학에 대한 부분에서 `어떻게 사회를 조직할 것인가?‘(51쪽)라는 문장을 만났다.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할까하는 고민을 처음으로 해 보았다.두 가지가 떠올랐다.자유로운 사회를 만들까?규칙 있는 사회를 만들까?너무 자유로우면 기본예절이나 암묵적인 규칙들이 다 무너져서 혼란스러울 것 같고, 규칙이 있으면 그 규칙 이외에는 하면 안 되니까 하고 싶은 욕구도 갇히게 된다? 라는 느낌도 들었다. 사회를 조직하는 과정이 굉장히 새롭고 설레는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어렵고 답을 모르겠고 답답했다.신기했다. 이런 생각을 할 수도 있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은 것 같은 날도 있었다. 자연에 대한 철학자들의 생각을 따라가 보면 자연과 내가 하나가 된 것 같은 순간도 있었다. ‘나’는 없어지는 느낌이 들더니, 그날은 내 얼굴이 낯설게 보이기도 했다. 문득 내 모든 세포가 소중하게 느껴졌다.철학자들의 끊임없는 질문들에 답답하고 갑갑하기도 했다. 그런 날에는 싫어했던 수학이 좋게 느껴졌다. 수학 문제를 풀다 보면 어렵긴 해도 늘 답이 있는데, 철학적 질문이라는 것은 답이 정해져 있지 않았다. [소피의 세계]에서 알게 된 철학자 한 사람 한 사람이 각기 다른 질문을 하고 또 각자 다른 답을 찾아가고 있었다. ‘인간은 끝없이 문제를 내고 답을 내는 존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소피의 세계]를 함께 읽고 둥글게쌤이 준비해 온 이야기와 설명을 듣고 질문을 따라가다 보면서 자꾸만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나는 무엇을 추구하는지? 나는 왜 운동하지 않는지? 자전거는 왜 잘 타는지? 공부는 왜 이렇게 안 하는지? 무엇을 재미있어하는지?’를 질문하게 되었다. 그 질문에 나름대로 답을 하면서, 나는 자신과 대화하고 있었다. 나와의 대화가 정말 즐거웠다.‘내가 이런 사람인가? 내가 이런 사람이구나!’를 반복하다 보니 신기했다. 나에 대한 존재감을 알아챘다. 아직 나를 다 알려면 멀었다는 생각이 들지만, 청소년 중에는 나처럼 나를 이렇게 잘 아는 사람이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나의 어떤 부분은 거부감이 들기도 했다. 그런 부분은 그냥 받아들이기로 했다. 그것도 나니깐.그런 수용을 해 보니 다른 사람들의 말과 행동도 받아들여지고 이해가 되었다.어떤 날은 범죄자들의 감정도 이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날이 있었다. 나에게도 그 범죄자가 느꼈을 법한 감정이 일어난 적이 있었는데, 나는 그 감정을 그림으로 표현해서 풀었다. 그 감정을 행동으로 옮긴 범죄자와 그 감정을 예술 분야로 펼치는 나 감정은 비슷했지만 하는 행동은 달랐다.새로운 생각을 할 때 나 자신에게 이런 생각도 하는구나! 하며 허용의 범위가 넓어졌고, 넓어진 생각 범위 안에서 선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적어도 나는 나 자신을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나도 내가 무슨 짓을 할지 몰라.”는 말을 굉장히 무서워하고 싫어한다. 본인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알아채지 못하니, 스스로 선택할 수도 없고, 선택을 예측할 수도 없으니 대처할 방법도 없다. 그런 상황이 오지 않도록 나를 알아야겠다.내 미래가 궁금하다. 내가 어떤 선택을 할지, 선택에 따른 행동을 하면 어떤 감정을 느낄지 모두 기대된다. 그 과정을 통해 나를 알아가겠지! 다양하게 선택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살아보고 싶다. 나 자신이 더 알고 싶어졌다. 나 자신이 더 알고 싶어지는 순간, 나는 이것이 자유구나! 싶었다.철학자들은 신으로부터, 세계로부터, 타인으로부터의 자유를 향해 질문을 던졌다. 그리고 저마다의 해답을 찾아 인류에게 되돌려주었다. 나도 나의 해답을 찾았다.나의 해답은‘자유는 나 자신을 알아가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